카테고리 없음
우리나라 민간경비의 발전 배경 및 과정
정빈 & 상준 아빠
2019. 3. 15. 05:22
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화 함께 발전ㆍ성장한 '영국', 제 1ㆍ2차 세계대전을 통해 발전ㆍ성장한 '미국', 민간경비와 관련된 기술ㆍ자본을 導入한 '일본' 등 각국 민간경비의 발전 배경 및 과정

1. 우리나라 민간경비의 발전 배경
① 전통적 의미의 민간경비 : 1960년대 이전, 수혜자(고객)의 필요에 의하여 민간경비원으로 신변보호 등을 책임지는 상주형태의 경비 활동
ㄱ. 고조선 및 삼국시대 : 부족(部族), 촌락ㆍ지역사회 전체가 공동운명체적 성격의 자체경비조직, 外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
ㄴ. 고려 및 조선시대 : 지방의 귀족 및 중앙의 세도가 들이 자신의 권력유지ㆍ재산보호를 위해 무사들을 고용 및 사병화
ㄷ. 조선시대 ~ 1960대 이전 : 권력가ㆍ事業家 등 민간경비원들을 고용, 주택 및 기타 시설물에 대한 경비ㆍ경호 임무
- 조선시대 : 다양한 公警備 조직의 존재, 상대적으로 민간경비 미약
② 현대적 의미의 민간경비 : 1960년대 이후, 경비관련 상품을 개발하여 고객의 요구에 의하여 계약ㆍ상주형태의 경비활동

2. 우리나라의 민간경비의 발전과정
① 현대적 의미의 민간경비 효시(曉示) : 1960년대 초 화영企業ㆍ경원企業에 의해 미8군부대의 용역경비를 담당
ㄱ. 施設物에 대하 민간차원의 민간경비 : 1962년 범아실업공사 ↔ 한국석유저장주식회사와의 용역경비계약 체결
ㄴ. 1964년 봉신企業ㆍ경화企業, 1965년 신원기경, 1966년 용진실업(前 화영企業), 1968년 초해산업 등 設立
② 1962년 청원경찰법 制定, 1973년 청원경찰제(국가 주요 기간산업체 경비) 施行, 1976년 용역경비업법 制定, 1978년 사단법인 한국경비협회 設立
③ 1977년 한국경비보장 주식회사 設立 : 행정안정부 警備業 허가 제 1호 취득, 국내 最初 은행자동화 무인경비 開始
ㄱ. 1996년 SECOM → S1 상호변경
ㄴ. 1980년 이후 外國 경비회사와의 기술제휴, 기계경비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
ㄷ. 1997년부터 민간경비업의 海外시장 개방 등으로 민간경비업의 발달

④ 1986년 Asian game, 1988년 서울 Olympics, 1993년 대전 EXPO 등을 통해 매년 안전 및 경호경비 산업 발전
⑤ 1999년 「용역경비업법」 → 「경비업법」으로 개정, 2001년 「경비업법」전면개정을 통해 특수경비업무 추가, 기계경비산업(신고제 → 허가제)의 발전ㆍ특수경비원제도 導入(청원경찰의 立地 축소)
ㄱ. 1997년 제 1회 경비지도사 試驗 시작
민간경비의 발전 : 일본편(도쿠가와 시대 전ㆍ후, SECOM의 전신 '경비보장' 등 )
민간경비의 발전 : 미국편(핀카톤의 경비조직, 남북전쟁 & 제 1ㆍ2차 세계대전 등)
민간경비의 발전 : 영국편(헨리국왕의 법령, 보우가의 주자, 산업혁명 후 민간경비의 발전 등)
이와 함께 기계경비보다 인력경비의 높은 의존도, 독특한 청원경찰제도 등의 우리나라의 민간경비의 발전 배경 및 과정에 대여 살펴보고자 한다.

1. 우리나라 민간경비의 발전 배경
① 전통적 의미의 민간경비 : 1960년대 이전, 수혜자(고객)의 필요에 의하여 민간경비원으로 신변보호 등을 책임지는 상주형태의 경비 활동
ㄱ. 고조선 및 삼국시대 : 부족(部族), 촌락ㆍ지역사회 전체가 공동운명체적 성격의 자체경비조직, 外侵으로부터 자신을 보호
ㄴ. 고려 및 조선시대 : 지방의 귀족 및 중앙의 세도가 들이 자신의 권력유지ㆍ재산보호를 위해 무사들을 고용 및 사병화
ㄷ. 조선시대 ~ 1960대 이전 : 권력가ㆍ事業家 등 민간경비원들을 고용, 주택 및 기타 시설물에 대한 경비ㆍ경호 임무
- 조선시대 : 다양한 公警備 조직의 존재, 상대적으로 민간경비 미약
② 현대적 의미의 민간경비 : 1960년대 이후, 경비관련 상품을 개발하여 고객의 요구에 의하여 계약ㆍ상주형태의 경비활동

2. 우리나라의 민간경비의 발전과정
① 현대적 의미의 민간경비 효시(曉示) : 1960년대 초 화영企業ㆍ경원企業에 의해 미8군부대의 용역경비를 담당
ㄱ. 施設物에 대하 민간차원의 민간경비 : 1962년 범아실업공사 ↔ 한국석유저장주식회사와의 용역경비계약 체결
ㄴ. 1964년 봉신企業ㆍ경화企業, 1965년 신원기경, 1966년 용진실업(前 화영企業), 1968년 초해산업 등 設立
② 1962년 청원경찰법 制定, 1973년 청원경찰제(국가 주요 기간산업체 경비) 施行, 1976년 용역경비업법 制定, 1978년 사단법인 한국경비협회 設立
③ 1977년 한국경비보장 주식회사 設立 : 행정안정부 警備業 허가 제 1호 취득, 국내 最初 은행자동화 무인경비 開始
ㄱ. 1996년 SECOM → S1 상호변경
ㄴ. 1980년 이후 外國 경비회사와의 기술제휴, 기계경비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
ㄷ. 1997년부터 민간경비업의 海外시장 개방 등으로 민간경비업의 발달

④ 1986년 Asian game, 1988년 서울 Olympics, 1993년 대전 EXPO 등을 통해 매년 안전 및 경호경비 산업 발전
⑤ 1999년 「용역경비업법」 → 「경비업법」으로 개정, 2001년 「경비업법」전면개정을 통해 특수경비업무 추가, 기계경비산업(신고제 → 허가제)의 발전ㆍ특수경비원제도 導入(청원경찰의 立地 축소)
ㄱ. 1997년 제 1회 경비지도사 試驗 시작